1. 주가차트 공부 : 추세, 패턴, 지표 분석이란? - 반짝이는 꿈

1. 주가차트 공부 : 추세, 패턴, 지표 분석이란?

반응형

 

 

 

기술분석을 위한 가장 기본인 추세분석, 패턴분석, 지표 분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추세분석 (Trend Analysis)

    추세라는 말을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추세라는 말이 가진 뜻은 '어떤 현상이 일정하게 나아가는 경향'이라고 합니다. 이 추세라는 단어에서 유추할 수 있듯 추세 분석이라는 것은 주가가 어떠한 규칙적인 흐름을 가지고 흘러가는 것에 기인한 분석법이라고 이해하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주가가 상당 기간 동안 동일하게 방향성을 지속할 수도 있겠죠. 하락하는 방향이거나 또는 상승하는 방향일 것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향성을 이용해서 이 경향이 파괴되거나 지속되는 흐름을 통해 주가를 예측하고 대응하는 분석으로 볼 수 있습니다. 

      추세분석을 위해서 함께 자주 사용되는 용어에는 '추세대', '추세선', '지지선', '저항선' 등의 용어가 있습니다. 아마 주식 분석 관련 블로그나 글을 접해보신 분들이라면 한 번쯤은 보셨을 거라 짐작이 됩니다. 

     위에서 언급드린 대로 특정 주가가 꾸준히 상승하는 흐름을 이어갈 수도 있고, 하락하는 흐름을 이어갈 수도 있겠죠. 이러한 흐름을 바탕으로 추세 관련 전략은 아래와 같이  2가지로 구분이 됩니다. 

     추세 순응 전략 

     추세 순응 전략이라는 이름에서 예상이 가능하듯 최근의 추세에 맞추서 매매하는 방식을 뜻합니다. 상승하는 추세를 가진 종목은 더 오를 것을 기대하고 매수하게 될 것이고, 하락하는 추세가 보인다면 매도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또는 전환점으로 보일 경우 앞으로의 방향성을 예측하고 그에 맞게 매매 전략을 꾸리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역추세순응전략 

     이 매매법은 추세 전환을 미리 예측하여 고점 매도, 또는 저점 매수를 계획하는 방식입니다. 예측이 정확하다면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초보 투자자가 적용하기엔 어려운 전략입니다. 

     

    패턴 분석 (Pattern Analysis)

    두 번째로 이야기해볼 것은 패턴 분석 법입니다. 앞서 이야기한 추세 분석과 유사하지만 조금 다른 부분이 있는데요. 항상 주가는 상승하다가 하락하는 단순한 흐름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 사이에서 특정한 패턴의 형태를 찾아서 매매 전략에 활용하는 것이 패턴 분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과거 주가 흐름들을 통해서 여러 가지 패턴에 대한 분석이 진행되었는데요. 어떤 주식이 고점에 다다랐을 때 자주 나오는 특이 패턴과, 저점에서 보여주는 정형화된 패턴들을 분류하여 분석하게 됩니다. 

     패턴에 대해서는 이름 붙이기 나름인데 '쌍봉', '쌍바닥', '헤드엔숄더', 'V자' 등이라 불리는 형태가 있습니다.  이 패턴 분석법이 가지는 한계는 사람마다 모양을 다르게 보기도 한다는 것입니다. 지극히 투자자의 주관에 의해 왜곡되어 분석될 가능성도 없지 않습니다. 

     

    지표 분석

     세 번째 이야기해 볼 것은 지표 분석법입니다. 과거의 패턴이 얼마나 앞으로 반복될 가능성이 있을지 통계적이고 수학적인 방법으로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지표 분석에 쓰이는 대표적인 지표 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추세지표

    추세 지표는 추세가 진행되는 방향을 파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상승 추세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주가가 지속적으로 저점과 고점을 전달보다 높이면서 상승하고 있는 형태를 이야기합니다. 하락 추세라는 것은 주가가 저점과 고점을 지속적으로 낮추면서 진행되는 형태가 되겠죠. 추가적으로 횡보는 주가가 특정 추세를 갖추지 못하고 미세한 등락을 반복하며 진행되는 형태를 말합니다. 이 추세지표에 해당하는 것은 '추세선', '이동평균선', 'MACD' 지표가 있습니다. 

    모멘텀 지표

    주가추세의 변곡점을 찾을 수 있는 지표를 이야기합니다. '스토캐스틱', '이격도', '투자심리선'이 해당합니다. 

    변동성 지표

    주가의 변동성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가 됩니다. 변동성 지표의 가장 대표적인 것은 '볼린저밴드'입니다. 

    시장강도 지표

    추세가 강력한 정도를 파악하는 지표입니다. 거래량과 함께 분석하는 경우가 많고, 'RSI', 'VR'이 있습니다.

     

     

     이렇게 차트 분석에는 여러 가지 지표들을 활용하여 기술적인 분석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단일 지표를 사용하기보다는 복합적으로 수치나 지표들을 확인 후 종합적인 판단을 내리게 됩니다. 다만 결국 과거의 움직임을 토대로 미래를 예측하는 것으로 100% 일치를 장담할 수 없기 때문에 과신해선 안됩니다.

     

    글제목 대표 그림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