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의 포스팅에서 기술적 분석에 사용되는 여러 지표들에 대해 간략히 언급을 드렸습니다. 계속 주식의 흐름, 움직임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였는데, 특정 날의 주식의 흐름과 함께 장기간 또는 단기간의 주가의 흐름과 특징을 알 수 있게 만들어주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를 우리는 캔들이라고 부릅니다. 캔들 하나를 가지고서도 우리는 그날의 흐름을 간단히 이해할 수 있는데, 그것은 바로 캔들이 그 당일의 주가의 흐름을 압축하여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결국 기술적 분석의 기본은 캔들이 담은 의미를 분석해 내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따라서 이번에는 간략하게 캔들의 구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목차
캔들의 구성
먼저 주식 장이 시작할 때의 가격 (시가), 마감할 때의 가격(종가) 그리고 당일의 최고가와 최저가를 모두 캔들에 담아내게 됩니다. 구성으로 우리는 4가지 가격에 대해 우선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캔들을 종류로 나누게 된다면 빨간색인 양봉과 파란색인 음봉으로 나뉩니다.
양봉의 경우에는 시가 보다 종가의 가격이 높게 마감된 경우, 즉 주가가 상승한 경우를 나타내며, 음봉은 그와 반대인 시가 보다 종가가 낮게 형성된 경우로 주가가 떨어진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시가부터 종가 까지를 몸통이라고 부르고 이것의 색깔에 따라 양봉 또는 음봉으로 나누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캔들 차트를 보게 되면 긴 직사각형의 형태가 아닌 위아래로 실선이 붙어있는 모습을 흔히 관찰하게 됩니다. 이것을 우리는 '꼬리'라고 부릅니다. 윗 꼬리의 경우는 양봉에서는 종가보다 높게 솟았던 가격, 음봉에서는 시가보다 높게 솟았던 가격을 의미합니다. 아랫꼬리의 경우 양봉에서는 시가보다 주가가 떨어졌던 가격, 음봉에서는 종가보다도 낮은 가격이 형성되었던 때를 의미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윗꼬리가 길게 형성되는 캔들형태의 경우에는 가격이 올랐다가 다시 하방압력을 받아 밀린 것으로 보고 있고, 그 정도리에 따라 피뢰침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아랫꼬리가 긴 경우에는 주가가 하방까지 떨어졌지만 다시 끌어올려진 것이므로 매수세가 들어왔다는 의미로도 해석합니다.
캔들의 기간
캔들의 경우에는 일정 기간 동안의 가격 정보를 담을 수 있다고 위에서 말씀드렸습니다. 기간에 따라 월봉, 주봉, 일봉, 분봉으로 나뉘게 되고 분봉의 경우 1분 봉, 3분 봉, 5분 봉, 15분 봉, 30분 봉, 60분 봉까지 다양하게 나누어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일봉을 많이 관찰하며, 중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주봉과 월봉도 사용하게 됩니다. 매매가 잦은 투자자의 경우 분봉도 적절히 활용하기도 합니다.
캔들의 크기
일봉의 경우를 예를 들어서 설명하겠습니다. 캔들의 크기는 그럼 어떻게 정해질까요? 양봉의 경우에 캔들의 머리는 종가, 시가는 바닥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따라서 그날의 주가가 크게 요동쳤다면 큰 캔들이 만들어지게 되고, 거의 변화가 없다면 짧은 캔들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주식 공부 > 2. 주식 차트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주가 차트 공부 : 갭의 개념과 종류 (0) | 2023.01.27 |
---|---|
3. 주가 차트 공부 : 캔들의 모양과 의미(3) (0) | 2023.01.27 |
3. 주가 차트 공부 : 캔들의 모양과 의미(2) (0) | 2023.01.20 |
3. 주가차트 공부 : 캔들의 모양과 의미 (0) | 2023.01.16 |
1. 주가차트 공부 : 추세, 패턴, 지표 분석이란? (0) | 2022.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