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I (상대강도지수, Relative Strength Index)의 개념을 알고, 이를 주식매매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목차
RSI 간단히 알아보기
RSI의 개념
RSI란 상대강도 지수라는 뜻으로 Relative Strength Index의 약자입니다. 이는 추세가 가진 강도가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인지를 알려주는 지표로 알려져 있습니다. 강도를 0~100까지 백분율로 표시하고 있어 매우 직관적입니다. 지표의 값이 0에 가까울수록 하락의 추세가 강한 것이고, 100에 가까울수록 상승의 추세가 강하다는 뜻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30 이하면 과매도가 일어났다고 판단할 수 있고, 70 이상일 경우 매수 과열로 해석합니다. 다만 언제나 동일하게 정량적인 지표로 해석하기보다는 지표의 형태나 흐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기도 합니다.
RSI 계산하기
RSI의 계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RSI = 100 - {100/ (1+RS)}
여기서 RS는 '일정 기간의 상승폭 평균/ 일정 기간의 하락폭 평균'으로 구합니다.
RS의 값이 크다는 것은 일정 기간 하락하기보다는 상승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이 기간은 14일을 많이 사용하며 때에 따라서는 9일 또는 25일도 사용합니다. 앞선 보조 지표들과 마찬가지로 이 기간이 짧을수록 지표는 민감하게 움직이고 길어지면 완만하고 둔감한 형태를 띱니다.
지표 해석하기
RSI가 30 이하일 경우에 과매도 구간으로 지나치게 매도가 많이 된 시점으로 해석합니다. 따라서 이는 매수 타이밍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RSI가 70 이상인 구간은 과매수 구간으로 주가 상승으로 인한 매수 과열 구간으로 해석합니다. 따라서 매도 시점이 될 수 있습니다. RSI가 30 이하이거나 70 이상일 때 주가의 흐름과 RSI가 반대로 움직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다이버전스라고 합니다. 이 신호는 추세 전환의 신호로 해석됩니다. 50을 기준으로 주가가 횡보하는 경우에는 RSI로 매매 신호를 판별할 수 없어 유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RSI의 활용 전략
과매수, 과매도 활용
RSI 가 30 이하로 떨어지면 매수, 70 이상일 경우 매도를 취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쉽습니다. 다만 RSI는 천정과 바닥을 쉽게 찾을 수 있는 지표이지만, 주가가 횡보할 경우에는 천정과 바닥이 형성되지 않는 단점이 있습니다.
강한 상승, 하락 시 활용
RSI가 70 이상으로 높아질 때 과매수권으로 보고 이익실현을 위한 매도가 많아질 것으로 예측합니다. 하지만 강한 호재가 있어 상승이 동반되는 경우 또는 강한 악재가 있어 강한 하락이 나오는 경우에는 좀 더 주의 깊은 적용이 필요합니다. 강한 상승이 형성된 경우에는 RSI가 70 이상이어도 계속적인 상승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70 이상에서 분할 매도하고 RSI가 70 이하로 떨어지기 전 나머지 물량을 정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다이버전스 활용
앞서 설명한 내용을 다시 복기해 보면 RSI의 다이버전스란 RSI에서 해석하는 일반적인 방식과 주가가 반대로 움직이는 것을 말합니다. 주가는 계속적인 상승을 기록하나 RSI는 하락하는 형상을 예로 들면, 이는 주가의 상승세가 약해지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반대의 경우 주가는 지속적인 하락이 있으나 RSI가 증가하게 된다면, 상승으로 추세가 바뀔 것을 예고하는 것이 됩니다. 따라서 추세 전환을 예견하는 지표로 RSI를 활용해 볼 수 있습니다.
'주식 공부 > 2. 주식 차트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주가 차트 공부 : MACD 이해하고 활용하기 (0) | 2023.03.26 |
---|---|
12. 주가 차트 공부 : CCI의 개념 및 활용법 (0) | 2023.02.26 |
10. 주가 차트 공부 : 스토캐스틱의 개념과 활용 (0) | 2023.02.22 |
9. 주가 차트 공부 : ADR의 개념과 활용법 (0) | 2023.02.21 |
8. 주가 차트 공부 : 모멘텀 지표 분석하고 활용하기 (0) | 2023.02.19 |